유칼립투스사먹기위한코알라몸부림/미장

[COIN]스테이블코인이 다시한번 이끌어 줄것인가?!

룰루랄라코알라 2025. 6. 16. 22:51
반응형

"거래소에서 플랫폼으로, 결제 인프라에서 글로벌 금융 게이트웨이로"

 

코인베이스는 코인을 한번쯤 하셨다면 다들 아실꺼다 가장큰 코인 거래소다. 

오늘 왜 이걸 고민하고있는 것중 하나가 스테이블코인이다. 

 

전세계적으로 기업들이 각자의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를 할려는 준비가 시작되었다.

드디어 화폐라는 개념이 달라지기 시작한것이다. 

 

화폐는 결국 미국 중심으로 움직이고있는 이상황에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과연 정착을 할것인가. 

우선 스테이블코인 관련주에는 쇼피파이라는 글로벌 결제 시스템이 대장인듯하다.

아직 미국도 법안도 진행 중이지만 통과되는순간 새로은 성장동력이 될것이다. 

 

우선 코인베이스도 한축이 될것이다.  

 

성장동력 영향

Deribit 인수 (29억 달러) 글로벌 파생상품 1위 거래소, 연 1조 달러 거래 거래량 증가 → 수수료 수익 ↑
기관 커스터디 및 ETF 파트너십 현물 ETF 커스터디 점유율 80% 신뢰도 ↑, 기관 거래 증가
스테이블코인(USDC) 통합 전략 쇼피파이·Stripe 결제 확장 수익 구조 다각화
B2B/API 서비스 기관 대상 커스터디·결제 솔루션 반복 수익 기반 형성
규제 리스크 정리 SEC·DoJ 조사, 해킹 소송 해결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요인

 

Deribit 인수는 단순 인수가 아니다. 이는 Binance·OKX 중심의 파생상품 시장을 정면 돌파하는 전략적 승부수다.

파생은 거래 수수료는 낮지만 하지만 규모의 경제일때는 말이 다르다. 

 

하지만 현재 코인베이스는 넘어야 할산들이 많다. 해킹 이슈가 최근 발생한게 너무 크다. 거래소의 최고의 변수는 역시 해킹이다.

 

변수 영향

실적 미달 주가 하락 압력 지속
해킹·소송 리스크 부각 심리 위축, 기관 유입 지연
BTC 조정 시 동반 하락 가능 가격 상관관계 지속

 

차트를 봐도 매력적이다. 물론 해당차트는 CONL 코인베이스 2배 그래닛셰어즈 이다. 

 

기술적으로 나쁘지 않은 자리기 때문에 17일 미국에서 법안으로 나오는 순간 새로운 방향을 잡고 갈거같다.

코인베이스는 지금 단기 실적 실망, 법적 리스크, 높은 비용 구조라는 불확실성과 함께 거래중이지만 

암호화폐의 제도권 편입,파생상품 수익성 확보,스테이블코인 기반의 실물경제 연결,기관 자산 유입

못해도 박스권은 유지 할것같다는 생각이 든다. 

 

**해당글은 매수/매도 권유가 아닙니다. 개인적은 생각입니다. 성투하세요.

 

반응형